💃 ENFP (활동가) – 첫인상에 확신!
"느낌이 좋아!" → 첫인상이 마음에 들면 끝까지 좋은 사람으로 봄.
(예: 썸 탈 때, 별거 아닌 행동도 “역시 이 사람 완벽해!”)
🦁 ENFJ (선도자) – 사람 보는 눈에 자신감
"얘 성격 딱 알겠다!" → 처음 본 사람의 성향을 단번에 단정 지음.
(예: 처음 만난 동료를 ‘리더형’이라고 생각하면 계속 그렇게 봄)
💡 ENTP (변론가) – 내가 맞다는 전제로 토론
"내 논리가 틀릴 리 없어!" → 자신의 의견을 뒷받침하는 정보만 찾음.
(예: 토론할 때 상대 의견 무시하고 내 생각만 강화)
⚖️ ENTJ (지도자) – 계획에 확신하는 타입
"내가 세운 전략이 최고야!" → 실패 신호도 "일시적인 거야"라고 무시.
(예: 프로젝트 중 문제가 생겨도 끝까지 밀어붙임)
🌸 외향형 (E) – 관계 중심의 착각러들
🌼 ESFP (연예인) – 감정에 충실한 확신
"이 분위기면 됐어!" → 상대방의 말보다 분위기에 더 끌림.
(예: 모임에서 재밌으면 사람 자체를 좋게 평가)
🎨 ESFJ (집정관) – 주변 사람들의 평가를 신뢰
"다들 좋다는데?" → 다수가 좋아하면 무조건 좋은 걸로 확신.
(예: 인기 많은 사람을 더 호감 있게 봄)
🎢 ESTP (사업가) – 순간적인 판단 고집
"직감이 맞아!" → 빠른 결정을 내리고, 그 판단을 굳힘.
(예: 첫 거래에서 상대방을 '신뢰할 만하다'라고 단정)
💼 ESTJ (경영자) – 규칙과 기준에 집착
"원래 이게 맞아!" → 기존 틀에 맞지 않으면 무조건 배제.
(예: 회사 규칙에 어긋나면 바로 ‘잘못됐다’고 생각)
🌌 내향형 (I) – 내면의 확신에 빠진 관찰러들
🌿 INFP (중재자) – 내 가치관이 최고
"내가 느낀 게 정답이야." → 자신의 가치와 부딪히면 자동으로 거부.
(예: 평소 싫어하는 타입의 사람은 바로 필터링)
📖 INFJ (옹호자) – 직관을 절대적으로 신뢰
"느낌이 이상해" → 근거 없는 예감도 정답처럼 믿음.
(예: 상대가 뭔가 숨기고 있다고 느끼면 끝까지 의심)
🧠 INTP (논리사고형) – 자기 논리에 빠진 과학자
"내 이론이 틀릴 리가 없어" → 내 논리를 강화하는 자료만 찾음.
(예: 토론할 때 반대 의견을 일부러 피함)
🎯 INTJ (전략가) – 빅픽처에만 집중
"전체 흐름을 보면 알 수 있어" → 디테일을 무시하고 큰 틀만 봄.
(예: 사소한 변수보다 '큰 그림'을 더 믿음)
🧸 내향형 (I) – 경험에 의존하는 확증러들
🍃 ISFP (모험가) – 감정의 순간에 확신
"느낌이 별로야" → 감정이 판단 기준이 돼서, 느낌에 안 맞으면 무조건 거부.
(예: 분위기가 별로면 상대방까지 별로라고 생각)
🧸 ISFJ (수호자) – 과거 경험에 의존
"전에 이런 적 있었어" → 과거와 비슷한 상황이면 같은 결과를 예상.
(예: 비슷한 상황에서 실망했던 경험이 있으면 또 실패할 거라고 단정)
🛠️ ISTP (장인) – 사실 중심의 확신러
"결과가 전부야" → 결과만 보고 모든 걸 판단.
(예: 시험에서 떨어지면 "난 이거랑 안 맞아"라고 단정)
🏡 ISTJ (논리주의자) – 전통과 규칙 신봉
"원래 이런 거야" → 정해진 규칙이나 전통에 벗어나면 불신.
(예: 새로운 방식엔 늘 회의적)